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코딩5

8.배열 내장함수 forEach 다음과 같은 텍스트 배열이 존재할 시 const superheroes = ['아이언맨', '캡틴 아메리카', '토르', '닥터 스트레인지']; 배열 안에 있는 모든 원소들을 모두 출력해야 한다면 for 문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현 const superheroes = ['아이언맨', '캡틴 아메리카', '토르', '닥터 스트레인지']; for (let i = 0; i { con.. 2021. 6. 24.
4.함수 함수란? - 특정 코드를 하나의 명령으로 실행 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 const a = 1; const b = 2; const sum = a + b; 위의 예제를 함수화 한다면? function add(a, b) { return a + b; } const sum = add(1, 2); console.log(sum); - function 키워드 사용 - 어떤 값을 받아올지 정함 -> 파라미터(매개변수) function add(a, b) { return a + b; console.log('호출이 되지 않는 코드!'); } const sum = add(1, 2); console.log(sum); - 함수 내부에서 return 키워드를 사용하여 함수의 결과물을 지정할 수 있음 - return 을 하게 되면 함.. 2021. 6. 24.
3.조건문 조건문이란? - 특정 조건이 만족됐을 때 특정 코드를 실행 if 문 - 특정 조건이 만족 될 때에만 특정 코드를 실행 const a = 1; if (a + 1 === 2) { console.log('a + 1 이 2 입니다.'); } // 실행 const a = 0; if (a + 1 === 2) { console.log('a + 1 이 2 입니다.'); } // 실행 안됨 const a = 1; if (true) { const a = 2; console.log('if문 안의 a 값은 ' + a); } // 실행 console.log('if문 밖의 a 값은 ' + a); if-else 문 - 특정 조건이 만족할 때와 만족하지 않을 때 서로 다른 코드를 실행해야 된다면 if-else 구문을 사용 const.. 2021. 6. 24.
2.변수와 상수 그리고 연산자 변수란? - 변(變)할 수있는 수(數) - 한번 값을 선언하고 나서 바꿀 수 있음. let value = 1; console.log(value); // 1이 출력됨 value = 2; console.log(value); // 2가 출력됨 한번 선언했으면 똑같은 이름으로 선언하지 못함 let value = 1; let value = 2; //오류 발생!! 상수란? - 항상(常) 일정한 수(數) - 한번 선언하면 값이 바뀌지 않음. const a = 1; a = 2; // "Error: "a" is read-only" 변수와 마찬가지로 한번 선언했으면 똑같은 이름으로 선언하지 못함 const a = 1; const a = 2; //오류 발생! var VS let var let 선언 똑같은 이름으로 여러번 선.. 2021. 6. 24.
반응형